-
수익률과 공실률 사이좌충우돌 집짓기 2020. 9. 14. 09:23
날씨 정말 좋습니다.
이 좋은 날씨에 회사로 출근한 건축하는 왕 과장 왕입니다요~
집짓기 신축현장 특검님이 다녀가셨습니다. 소규모 건축이라 그런지 무난하게 열몇 가지의 수정사항이 있었지만 무탈하게 지나갔습니다. 감사할 일입니다.
계획대로 진행이 된다면 며칠 후에 준공이 나올 것이고
본격적으로 임대 고민을 해야 합니다.
© Merio, 출처 Pixabay 1층에 근생은 근생을 살리기 위해 사업을 구상하고 있으며
나머지 공간에도 입주자들을 위한 휴게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고민고민하고 있는데
역시 혼자의 힘으로는 역부족입니다. 무슨 컨설팅이라도 받아야 할까요? ㅎ
보통 신축 건물의 수익률은 별거 아닙니다. 방 개수를 얼마나 많이 뽑아내느냐에 따라서 수익률이 결정됩니다. 똑같은 50평 대지 위에 신축 건물을 올린다고 했을 때 원룸 기준으로 13개~17개 사이 규모로 방 개수를 뽑을 수 있는데... 방 갯수를 포기하면서까지 근생과 입주민 편의시설을 넣는다는 것은 왕과장 나름 큰 결단이었습니다.
방 하나를 1년 동안 유지하면 현금흐름 500만 원 이상을 포기하는 결괏값이 됩니다. 세후 년 500만 원이면 엄청나게 큰 금액입니다.
왜? 이런 알짜 수익률을 포기하는 것일까요?
일종에 딜(Deal)입니다.
공실률을 최소화하고, 신축 건물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.
같은 신축 건물이라도,
1층에 밝은 편의 시설이 있고,
휴게공간도 있는 우리 건물이 더 좋지 않겠니?
라고 당근을 마구마구 던져 주는 효과를 얻기 위한 전략입니다.
© Alexas_Fotos, 출처 Pixabay 신축 건물 원룸에 거주하는 1인가구의 임대인들은 방범에 대한 걱정이 있다고 합니다. 그래서 CCTV도 16채널을 설치했지만,
CCTV 기본16채널, 추가예정 아무래도 건물 자체가 밝아야 하기에 등 기구도 많이 설치했는데요. 더 보태서 1층 근생은 24시간 무인으로 돌아가는 근생을 입점 시키려고 계획 중에 있답니다.
누구나 현금흐름과 월/년 수입에 대해 커다란 기대수익률을 바라는 마음은 같을 거라고 생각됩니다. 하지만...
공실이 생기면 모두 꽝~~이라고 생각되기에, 건물의 경쟁력을 올리고 싶은 마음이 더 크게 작용됩니다.
후에 건물을 매각하게 되더라도, 1층에 근생이 있는 건물에 명칭은 "상가 꼬마빌딩, 상가건물"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되어서 매도 시에도 유리할 듯 생각이 드네요
...그냥 왕 과장 생각이 그렇습니다(아직, 경험이 없어봐서...)
의도치 않게 넉넉한 방 사이즈는 만들지 못했지만, 그 외에 편의시설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.
옥상에 썬룸, 뒷마당에 나무그늘 휴식공간, 1층에 휴게실(팩스, 복사 시설), 자판기... 모두가 힘들지만 위기는 기회를 만들기도 합니다.
'좌충우돌 집짓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축주 투자 마인드 (0) 2020.07.10 소개받은 토지에 몇 층 건물을 올릴 수 있을지 건폐율 & 용적률 뽀개기 (0) 2020.06.01 내 집짓기 신축공사 알고보니 이런거 였구나(철근과 목수 콜라보) (0) 2020.05.13 리얼 집짓기 공사현장 2층 내부, 3층->4층까지 최초공개(단독주택 13~14주차현장) (0) 2020.05.11 집짓기 콘크리트 타설도 1도 몰랐던 찐 경험썰(인천 신축현장 타설) (0) 2020.05.08